5·18 광주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전라남도 광주에서 벌어진 시민들의 군부 독재에 대한 저항운동이다. 당시 신군부는 불법적인 정권 찬탈을 시도하며 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했고, 이에 분노한 광주시민들이 자유와 정의를 위해 떨쳐 일어났다. 이 운동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어 기억되고 있다.

광주민주화운동의 역사적 배경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피살 사건 이후 대한민국은 정치적 공백 상태에 빠진다. 그 틈을 타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는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켜 군권을 장악한다. 민주화의 기대감이 커지던 가운데, 이들은 정권을 탈취하기 위한 수순으로 1980년 5월 17일 전국 비상계엄 확대를 단행한다. 이 조치는 정치 활동 금지, 국회 해산, 언론 검열, 대학생 대규모 체포 등 국민 기본권을 억압하는 것이었고, 특히 전남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광주 지역 학생들이 먼저 저항에 나서게 된다.
5·18 민주화운동의 전개
1980년 5월 18일 아침, 전남대 학생들이 시위를 벌이자 정부는 공수부대를 투입해 강경 진압에 나선다. 곤봉, 총검, 부대원들의 집단 폭행 등 과도한 무력 사용이 이루어졌고, 시민들은 분노하며 시위에 동참하기 시작한다.
5월 21일 오후, 계엄군이 도청 앞에 모인 시민들에게 실탄 발포를 감행하며 수십 명이 사망한다. 이후 광주 시민군은 무장하여 계엄군을 시 외곽으로 몰아냈고, 광주는 계엄군이 없는 해방구가 된다.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광주는 군이 없는 가운데도 평화로운 자치 질서가 유지된다. 시민군은 치안과 교통을 유지하고, 자원봉사자들은 식량·의약품·헌혈을 지원하며 공동체를 유지했다.
그러다 5월 27일 새벽, 신군부는 ‘상무충정작전(광주 재진입 작전)’을 발동해 전투병력을 투입, 도청을 점령하고 시민군을 진압한다. 이 작전으로 수십 명이 현장에서 사망, 수백 명이 체포되거나 고문당했다.
공식 사망자: 200여 명
부상자: 1,800여 명
행방불명 및 암매장 의혹: 수십 건 이상
광주항쟁에 대한 왜곡과 침묵
전두환 정권은 광주항쟁을 ‘북한 간첩 선동’, ‘폭도들의 난동’이라 주장하며 국민을 속였다. 언론은 통제되었고, 피해자와 유가족들은 ‘빨갱이 낙인’을 우려해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 지금도 일부 극우 세력이나 유튜브 채널은 5·18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하며 민주화 정신을 훼손하고 있다. 이에 따라 5·18 왜곡 처벌법이 2021년 제정되어, 허위 유포에 법적 대응이 가능해졌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5·18은 단순한 지역 항쟁이 아니라,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기틀을 마련한 운동이다. 정치권의 개헌 요구, 시민 참여의 확산, 인권 감수성의 증진은 모두 이 사건에서 시작되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 운동은 기억되어야 할 진실이며, 이어가야 할 약속이다.